지진 관측시설 개선이 시급하다.

강원도내에 설치된 지진계 절반 이상이 노후하다고 한다. 일본의 대지진에 따라 우리도 안심하고 있을 때가 아니라는 것이 중론이다.

비록 경미하지만 전국 곳곳에서 지진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지진의 추이를 살피고 대비책을 마련하려면 축적된 데이터가 많고 다양해야 한다.

따라서 정밀한 계측은 기본이다.

그렇기에 지반 변동을 효과적으로 감지해내는 현대화된 시설을 갖추는 일은 상식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도내에 설치돼 있는 대부분의 지진 계측기들은 폐기처분해야 할 노후 장비다.

현재 사용 중인 18개의 지진계 가운데 동해, 태백, 속초, 영월, 원주, 인제지역에 있는 것은 이미 내구연한 10년을 넘겼다.

도내 지진 관측의 핵심장비인 춘천, 대관령의 광대역 지진계는 오는 11월과 12월 각각 연한이 만료된다. 홍천과 강릉지진계도 마찬가지다.

사정이 이럼에도 아직 교체 계획조차 없다니 답답하다. 그나마 동해, 속초, 영월, 인제는 내년 교체를 추진 중이지만 이 또한 안갯속인 실정이다.

기상청은 노후한 지진계를 교체하지 못하는 이유로 예산부족을 들고 있다. 하지만 이는 궁색하다.

가속도계와 단주기 지진계의 가격은 3,000여만 원, 광대역 지진계는 7,000여만 원대라고 알려졌다. 기상청이 이 정도의 예산도 확보하지 못하는 기관이란 말인가.

지진 재난 대비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이해되지 않는다. 해당 기관과 관계자들의 무사안일한 태도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 지진계 관리도 허술하다.

춘천지진계의 경우 등산로에 설치돼 있다. 그럼에도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경계 시설물이나 관리인원조차 없다.

그런가 하면 울릉도에 설치된 동해 유일의 해저지진계는 지난해 1월 고장 11개월 만에 수리돼 국정감사에서 지적되기도 했다니 한심한 노릇이다.

상청 관계자는 노후 장비 교체와 확충이 필요하지만 예산 확보가 어려워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지 않았다고 실토했다.

아울러 현재 관측에 큰 지장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도대체 지금 일본이 처한 상황, 우리 국민의 불안감을 알고서 하는 말인가.

지진 대비의 중요성은 이미 국민적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돼 있다. 지진 관측시설과 시스템의 혁신적 강화를 촉구한다.

저작권자 © 대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