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고 깊은 가을 하늘, 비색으로 승화

비색(翡色)은 고려 사람들이 만든 독자적인 색으로 우리 민족이 추구하는 가장 이상적인 색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려는 중국에서 청자의 기술을 받아들였지만 중국의 비색(秘色)과는 다른 독자적인 색을 만들어 그 아름다움을 완성하였던 것이다.

비색이라는 용어는 고려 인종 때 송나라의 사신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徐兢이 기록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처음 등장한다.
또한 같은 시기의 태평노인(太平老人)은 '수중금(袖中錦)'이라는 책에서 비색을 갖춘 고려청자를 천하제일로 꼽고 있어 전성기 고려청자의 기술이 매우 뛰어났음을 알려주고 있다.

비색 청자의 푸른색은 빙렬(氷裂, 유약을 바를 표면에 가느다란 금이 가 있는 상태.)이 없으며 깊고 차분한 느낌을 주는 것으로 맑고 투명하여 음·양각 등의 무늬가 선명하게 드러나 무늬나 장식을 간결하고 단아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투명한 유약은 흑백으로 그려진 상감(象嵌) 무늬를 더욱 선명하고 밝게 보이게 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고려청자가 우아하고 세련된 조형미를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은 비색이 갖는 맑고 투명한 절대적 조건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유약 아래에 안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그리는 철화鐵畵나 퇴화堆花 기법 등도 유약이 맑고 투명하지 않았다면 나타나지 못했을 것이다.

유려한 곡선과 균제(均齊)의 미, 형태

그릇의 형태는 만든 곳과 사람들의 문화와 미적 감각 위에 새로운 시대정신과 양식을 반영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고려청자도 처음에는 딱딱한 금속기적인 기형이었으나 점차 유연하고 부드러운 고려적 조형으로 변화해 간다.

인위적인 위엄이나 권위, 신비감, 과장성, 논리적, 철학적 모습 등을 찾아볼 수 없는 자연스러운 형태를 가장 이상적으로 구현하였다.
동·식물의 형태를 본떠 만든 상형청자도 인공과 장식을 최소로 줄여 자연 상태의 특징과 매력을 절묘하게 표현하여 그 아름다움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하였다.

일반적인 대접과 접시 등의 그릇도 각 부분의 균형이 잘 어우러져 고려적인 부드럽고 유연한 곡선의 미를 갖도록 하였다.

도자기는 점력을 가지고 있는 바탕흙으로 형태를 만들고 이것을 높은 온도로 구워낸 것이다.
이처럼 가장 중요한 재료인 바탕흙의 특성에 적응하면서 과장과 억지가 없는 자연스러운 형태로 만들기 때문에 고려청자에서는 언제나 대지(大地)의 향기를 맡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자기의 세부 명칭은 사람의 몸에 비유하여 정리하고 있는데, 입술은 구연(口緣)이라 부르며 항아리와 병 등 규모가 큰 그릇은 어깨(肩部), 몸통(胴體), 굽 다리 등으로 그 형태를 설명한다.

다시 입이 넓고 좁고, 목이 길고 짧고, 몸체가 원형인지 반원형인지, 굽 다리가 어떤 형태로 깎였는지에 따라 세부 이름이 정해진다.
이들 각 부분은 시대에 따라 변화가 있어 이를 찬찬히 살피는 것도 청자 감상의 재미라고 할 수 있겠다.

사진=문화재청 제공
자연을 담은 서정적 아름다움, 무늬

자기는 실생활에 사용하기 위한 공예품으로 순수 회화보다는 대부분 당대 유행하는 무늬나 사용하는 사람들의 바람을 담아 무늬를 베풀고 있어 자기에 그려진 무늬는 그 시대의 일상생활과 문화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고려청자에 베풀어진 무늬에서도 고려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단아하고 간결하면서 자연을 사랑하였던 고려인들의 서정적이며 시적인 아름다움을 읽을 수 있다.

고려청자의 무늬는 최대한 인위적인 것을 배제하고 자연에서 얻은 구름과 연꽃, 모란, 국화, 버들, 초목, 새, 동물 등의 자연적 특징을 살려 묘사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즉, 고려의 자연 안에 살아 있는 꽃과 나무와 새 등 자연의 모습을 직접 관찰하여 그림을 그리듯 서정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생기발랄한 생명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상감기법이 가장 성행하던 12~13세기에는 회화처럼 사실적 소재를 선택하여 여백을 두면서 간결하게 표현하여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고려인들이 인위적인 미감보다 자연을 사랑하고 이를 청자에 담고자 노력하였음을 알려준다. 무늬는 청자의 유형을 분류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로 어떤 시문기법과 재료를 가지고 어떤 무늬와 형상으로 만들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청자의 종류는 순(純)청자와 상감(象嵌)청자, 철화(鐵畵)청자, 동화(銅畵)청자, 화금(畵金)청자, 퇴화(堆花)청자, 철채(鐵彩)청자, 동채(銅彩)청자, 흑유(黑釉)청자, 연리문(練理文)청자 등 다양하다.

이처럼 여러 가지 시문기법과 문양이 발달할 수 있었던 배경은 앞에서 설명하였던 고려만의 투명한 비색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맑고 투명한 유약은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기 때문에 모든 문양과 장식을 간결하고 우아하며 정적(靜的)으로 바뀌게 하는 매력이 있었던 것이다.

청자는 공예품이기 때문에 작품성도 중요하지만 그 쓰임새가 편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유색과 형태, 무늬 등의 아름다움을 갖추고 쓰임새가 편리한 청자를 가장 좋은 청자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장점을 두루 갖춘 청자가 만들어지던 시기가 바로 고려 문화가 가장 발달하였던 12세기이다.

이 시기가 바로 비색이 완성되고 형태가 정제되며 상감기법이 등장하는 등 고려청자의 전성기로 가장 다양한 종류의 청자가 만들어져 고려적 풍모를 대변한다고 하겠다.

또한 동물이나 식물, 사람 모양을 본떠 만든 상형청자가 많이 제작된 것도 이 시기의 특징이다.
이와 같은 예술성과 편리성 이외에도 전래(소장) 과정의 역사성과 학문적 의미도 되새겨 보아야 진정으로 그 청자를 이해하고 감상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한편 청자를 비롯한 도자는 굽과 굽 받침(도자기를 가마에서 구울 때 서로 붙지 않도록 굽에 받치는 알갱이)이 시기별로 다른 형태와 종류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굽과 굽 받침은 청자를 보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므로 잊지 않고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좋은 청자를 감상하고 소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잘 보관하고 교육과 전시 등 공공 목적에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소양도 반드시 필요하다.
<한성욱 민족문화유산연구원 부원장>

저작권자 © 대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