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상의 축제무드가 무르익어가는 가운데 런던의 올림픽공원은 세기의 올림픽을 기치로 낙후된 건물을 철거한 후 90% 이상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등 귀감이 되고 있다.

역사와 전통이 깃든 영국의 런던은 2012년 올림픽 개최까지 통산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3번의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른 개최국으로 프라이드 또한 상당하다. 

근대들어 글로벌 축제현장 올림픽과 월드컵, 세계정상회의 등 국제회의에서 빠지지 않는 키워드는 다름아닌 '친환경'.

 
산업화 이후 생태계는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파괴된데다 이제 우리가 그 자연파괴의 영향이 부메랑으로 고스란히 되받고 있다.

이상기후도 그 중의 하나로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는 친환경을 넘어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중시한다.

이에 따라 런던올림픽조직위원회는 올림픽 시설 건설과 운영에 있어 둘 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치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는데 비지땀을 흘리고 있다.

 
또한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그 세부적인 계획도 세워 별다른 흠결이나 하자없이 추진해 온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나 올림픽의 또 하나에 마스코트 런던올림픽공원은 런던 스트라트포드(Stratford) 지역 5개 구(Borough)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런던 스트라트포드는 영국 전역에서 가장 높은 실업률, 가장 낮은 소득, 전국 평균에 비해 다섯 살이나 낮은 수명,열악한 교육수준, 110개 언어가 사용되는 다국적 이민자들이 사는 곳으로 부정적 시각이 팽배하다.

 
개발 전 항공사진으로 촬영한 올림픽공원의 2.5㎢ 규모는 그야말로 빈 공장과 창고와 잡초만이 무성한 사실상의 황무지와 진배 없었다.

더군다나 물고기가 한 마리도 살 수 없이 수질이 오염된 수로로 이름하여 폐허의 터전이었다.
스타디움을 시행한 올림픽조달청(ODA)의 첫 번째 임무는 도저히 어떻게 해볼 수 없는 흙을 되살리는 일이었다는 후문이다.

그들이 선택한 토양정화 기법은 200만 톤의 어마어마한 양의 흙을 파내어 컨베이어 벨트로 옮겨 돌을 골라내고 동시에 거대한 자석으로 금속물질을 따로 모으기 시작했다.

 
그 다음 흙을 물로 씻어내는 작업을 쉼없이 거쳐 마침내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물로는 아예 정화가 안되는 오염물질이 뒤섞인 흙으로 독보적인 기법을 동원했고, 오염된 흙을 씻은 물도 생화학방법으로 수질정화를 시켜 흙과 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전력했다.

그 결과 오염된 200만톤의 흙 정화작업과 함께 인근 수로와 호수의 물 2,000만 갤런도 모두 깨끗이 정화되는 수훈을 남겼다. 

 
게다가 오래되고 낙후된 지역이던 런던의 스트라트포트는 건물철거가 무엇보다 시급했다.

이에 유치위원회는 올림픽공원 부지안 200여 채의 건물 철거과정에서 나온 폐자재의 80%를 재활용하겠다고 선언했다.

급기야 폐기물 사용을 80%가 아닌 90%까지 그 사용비율을 높이는데 성공했다.
폐건물은 일일이 철거 크레인을 사용해 분해했고, 일부는 사람의 손으로 처리해 폐자재의 재활용 비율을 높였다. 

 
런던올림픽의 지속가능한 환경정책은 이뿐아니라 선수촌을 주경기장과 각종 주요 경기장이 있는 올림픽공원 인근거리에 건설해 선수들이 걸어 경기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계했다.

모든 경기 입장권을 당일 런던교통 이용권으로 사용할 수 있게해 전 관객이 도보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해 경기를 관람하도록 아이디어를 창출했다.

런던 하계올림픽을 주최하는 쪽이나 런던올림픽을 즐기러 온 관람객 모두 환경을 생각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포커스를 맞췄다.

역사와 전통이 살아 쉼쉬는 영국의 새로운 전환점이 된 런던올림픽의 친환경 메세지가 사뭇 지구상의 소리없는 감동으로 다가오는 또하나의 결실인 셈이다.
<전경진 기획실장/사진=www.london2012.com 발췌>
 

저작권자 © 대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