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녹색기술은 이미 해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수출산업에 청신호가 예고된다.

특히 스마트그리드와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 핵융합로 설계 및 건설, 고효율 저공해 차량 등 기술에 있어서는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20% 이상 대폭 단축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평가는 녹색산업에 대한 적극적 연구개발과 투자확대에 기인한 바 크다.

영국의 홍콩상하이은행(HSBC)은 지난 3월 ‘한국 녹색성장의 성과와 전망’이란 보고서를 통해 “2015년까지 탄소배출을 규제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녹색제품과 기술(CSGT·Climate Smart Goods and Technologies) 수출의 50퍼센트 이상이 탄소 감축국가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한국의 총수출 중 녹색제품과 기술의 수출비중이 2010년 2.4퍼센트에서 2015년 4.6퍼센트로 상승하고, 오는 2015년에는 한국이 일본을 제치고 녹색제품과 기술 수출에 있어 4위로 올라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HSBC의 이 같은 전망에는 한국의 녹색제품과 녹색기술 수출이 2005년 세계 15위에서 2010년 7위까지 급상승했다는 사실이 근거가 됐다. 유엔 녹색기후기금 유치노력도 HSBC가 긍정적으로 평가한 부분이다.

이 같은 평가는 녹색산업에 대한 적극적 연구개발(R&D)과 투자 확대에 기인한 바 크다.

우리 정부는 지난 2009년 스마트그리드를 비롯해 신재생에너지, 2차전지, 그린정보기술(IT), 발광다이오드(LED), 그린카, 고도 수(水)처리, 원자력기술, 이산화탄소(CO2) 포집기술(CCS), 연료전지 등을 ‘10대 녹색기술’로 지정, 범정부 차원의 ‘녹색기술개발 및 상용화 로드맵’을 마련하고 연구개발과 투자확대를 독려해 왔다.

이로 인해 몇몇 녹색기술의 수준이 급속하게 향상돼 일본 등 녹색기술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대폭 축소됐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권병창 기자/사진=공감코리아 제공>

 

저작권자 © 대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