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52개국 105 도시서 축제무드

 
 
 
에콰도르 지진 모금행사 동시 진행
“우리나라가 평화를 막아서는 방해해서도 안됩니다. 세계평화는 반드시 이뤄져야 합니다.”

하늘문화세계평화광복(이하 HWPL,대표 이만희)은 25일 오전 부산 수영구 광안리 해변 일대에서 '세계평화선언 3주년 기념행사 및 전쟁종식 평화걷기대회-지구촌 전쟁종식 평화선언문 지지서명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HWPL이 주최하고, 국제청년평화그룹(IPYG,부장 김두현)과 세계여성평화그룹(IWPG,대표 김남희) 주관으로 진행됐으며, 전 세계 52개국 105개 도시에서 동시에 열렸다.

걷기대회 행사에 유독 사람들이 많은 이유는 ‘같은 시대, 같은 땅에 같은 사람으로 태어난 청년들은 꽃 한번 피워보지 못하고 왜 전쟁에서 죽어야 하는가? 죽음의 보상은 무엇으로 할 수 있는가?’라는 글귀가 전 세계인들의 마음을 울려 평화활동에 참여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도 서울 올림픽공원 평화의 문 앞에 2만여 명이 참여했으며, 광주, 대전, 대구 등 국내 주요 도시에서도 동시에 열렸다.

기념비적인 3주년을 맞아 부산에서는 광안리 해변 일대에 5천여 명이 참여했다.

 
HWPL 이만희대표는 “오늘날 우리나라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평화가 필요하다. 남북이 대치하고 있고 동족의 가슴에 총부리를 겨누고 있다. 서로 이용하고 있다”고 상기했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 때문에 세계가 겁을 내고 있다. 어느 나라보다 우리나라가 더 평화를 원해야 한다. 우리나라가 평화를 막아서는 방해해서는 안 된다. 평화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UN 여성단체들과 연합하여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IWPG의 김남희대표는 “IWPG와 IPYG는 전 세계에 전쟁종식 평화선언문 지지 촉구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모든 국가의 동의를 얻고 평화를 향한 염원을 불러일으켜야 한다”고 강조했다.김 대표는 “여성들은 전 세계 36억의 여성들과 하나 되어 ‘어머니의 마음’으로 반드시 자녀들을 지켜내야 한다.

우리는 어머니라는 고귀한 이름을 가진 생명의 창조자들”이라고 여성과 청년들에게 호소했다.

또한, 이날 부대 행사로 지난 4월 16일 발생한 에콰도르 지진 피해 성금 모금이 진행됐다.
모아진 성금은 대한민국 에콰도르 대사관을 통해 공식적으로 전달될 계획이다.

호르헤 이까사 주한 에콰도르 총영사는 “HWPL에 진심 어린 감사를 전한다. 대표님의 사랑과 평화를 위한 활동이 에콰도르 사람들뿐 아니라 전쟁과 자연 재해로부터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희망의 메시지가 되리라 확신한다”고 축사했다.

과테말라 중미의회의 파울라 로드리게스 상원의원은 “감동과 기쁨이 넘친다. 모든 국가들의 지지서명으로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선언문’이 국제법으로 제정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축하 인사를 보내왔다.

이밖에 88명의 각국 인사들이 세계평화선언문 3주년을 축하하는 영상을 보내왔다.

‘Legislate Peace’캠페인은 지난 3월 14일 HWPL이 공표한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선언문’을 법적 구속력을 지니는 국제법으로 만들기 위한 촉구 운동이다.

개개인의 지지서명과 더불어서 프라티바 데비싱 파틸 인도 전 대통령, 위지예다사 라자팍샤 스리랑카 법무부장관 등 각 국가 정치지도자들은 이 선언문의 내용을 지지한다는 공문을 보내오고 있다.
 
 
한편, HWPL이 공표한 국제법 선언문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선언문’은 지구촌의 모든 전쟁을 종식 짓고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고자 함이 목적이다.

선언문은 평화 유지를 위한 기존의 국제법을 강화하고 보완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으며 어떠한 상황에도 무력을 사용한 침략과 위협은 안 된다는 조항 등을 포함한다.

향후 HWPL은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선언문’과 함께 서명을 보내 UN의 국제법안으로 상정되게 할 계획이다.
HWPL은 연말까지 500만 명의 서명이 모아질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한편,과거 NGO단체가 국제법 제정에 영향을 미친 예로는 약 1,000개의 NGO가 중심이 되어 여론을 형성하고 관심을 촉구한 대인지뢰의 사용 금지를 위한 오타와 협약을 들수 있다.

이는 재래식 무기가 테러와 시민학살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엠네스티를 비롯한 인권단체들이 초안을 마련해 캠페인을 전개했던 국제무기거래조약 등이 있다.
<부산=신행식 기자>
 

저작권자 © 대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