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블로그 발췌>

세계적인 환경NGO 그린피스가 예년에 없이 소강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뉴스 지면을 장식한지 오래다.

필자는 최근 일본의 온천왕국, 오이타현에 기회가 있어 현지 관광전담 간부와의 허심탄회한 만남의 자리에 함께 했다.

그는 일본 오이타현의 관광업무를 담당하며, 한국에서도 이미 파견 근무를 했던 나름의 한국 풍습과 정서를 꿰뚫고 있는 순수 일본인이다.

근래들어 한국에서 동물보호단체의 치외법권에 가까운 월권과 생존권 사수에 대한 식용견 종사자들간의 평행선을 둘러싼 일본의 행정관리에 대해 진지하게 질의했다.

그는 단도직입적으로 한국의 식용견 문화를 들어 일본의 고래포획에 따른 포경선 원양어업을 비유했다.

바로 환경NGO 그린피스의 쉼없는 규탄과 일본에 대한 국가적 비난에 당당히 맞서며 내정간섭에 따른 노골적 반대로 그린피스의 도전을 사실상 차단했다는 귀띔이다.

그는 이에 반해 한국의 개고기 식용을 둘러싼 동일한 정서로 일본 정부에서도 딱히 법률적으로 제한한 식용견 금지법 등은 사문화됐다는 설명이다.

개인의 기호식품이자, 굳이 사생활마저 간섭할 수 있는 아무런 권한이 없다는 사유로 설득력을 얻는 대목이다.

이를 들어 한국 역시 비록 개인적 의견에 이르지만, 전통적으로 선호한 개식용 문화에 동물단체이든 정부가 나서 간섭할 사안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현실적으로 국내에서 전개되는 식용견 문화와 개고기 금지 등에 대해 입법의 보루,-국회에서는 일단 단계적인 업종전환에 비중을 두고 있는 분위기이다.

그에 수반된 정부 또한 일반 농가지원과 육견 종사자에 대한 상응한 반대급부가 필요하지만 예산의 한계로 아직은 시기상조란게 지배적이다.

이에 실제 식용견 종사자와 관련 업종의 관계자들은 오죽하면 동보단체의 악다구니와 험악한 소리까지 들으면서 생계전선을 지키려하겠냐는 항변이다.

정부는 물론 언론의 시선 밖으로 떠밀린 육견인들의 하소연에는 여전히 손사래를 치는게 현실하다.

문재인정부로 접어들어 1,000만 애견인의 때아닌 호응속에 개고기 문화의 변화를 동물보호단체와 협력,현안 타개를 모색하는 듯 했으나 사실 유명무실한게 고작이다.

이와 맞물려 동물보호단체는 생존권과 생사의 존폐가 딸린 육견인들에 대해 납득할만한 폐업주장과는 속수무책의 다툼을 유발하는 낮은 수위만이 이어지고 있다.

이같은 육견 문화에 학계와 동물단체 등은 이들의 소외계층에 대한 투명한 현지조사와 정밀 분석을 통해 장기적인 혜안이 절박한 임계점이다.

무차별적인 고소 남발과 무작위의 농장 출입 등 자칫 감정이입으로 번질 자극적인 언행은 물론 성숙된 NGO 활동이 요원하다.

요컨대, 관련 정책부서의 충분한 검토와 미래지향적인 방향 제시에 이어 100만 육견 종사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솔로몬의 지혜를 기대한다.

이는 곧 이웃 일본 간부공무원의 한국에 대한 식용견 정서와 자국의 고래포획 사례와 같이 시사하는 작은 울림이 아닐까 싶다.

저작권자 © 대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