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육견협회,29일 국회 앞에서 한달째 릴레이 피켓 및 침묵시위

<육견협회 회원들이 29일 국회 앞에서 '생존권 보장' 및 동물보호법 개정안 철회 등을 요구하며 한달째 피켓시위를 벌이고 있다.>

[긴급진단=유영미 기자/이계정 기자]"동물복지보다 사람복지에 힘써주십시오","개는 법이전 관습법에서도 가축이고 축산물입니다","남은 음식물과 음식물류 폐기물은 구분돼야 합니다."

29일 대한육견협회 등에 따르면, 국내 식용견의 사육농가는 12만여 농가로 추산한다. 사육농민과 유통, 판매 등 관련업에 몸담고 있는 종사자는 150만명 가량이라는 것이 협회측의 전언이다.

협회 관계자는"동물보호단체의 주장처럼 개식용을 금지하면 전통적으로 산업화돼 있는 육견업계는 순식간에 공중분해 된다"면서 "해당 업계에 종사하고 있던 150여 만명은 실업자 신세가 될 수밖에 없다"고 개탄했다.

그는 "육견협회 회원들 대부분은 농민들"이라면서 "개 살리자는 이유로 농민을 사지로 몰아넣는 것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전제한 뒤 “생존이 걸린 문제"라고 하소연 했다.

육견협회 회원들은 지난 9월, 중순부터 국회 앞에 천막을 치고 각 지방에서 상경한채 피켓 및 침묵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육견협회는 국회 앞 천막농성을 오는 11월 말까지 잠정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개 식용 금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법안 3개(축산법 일부 개정법률안, 동물보호법 일부 법률개정안, 폐기물관리법 일부 개정법률안)의 '쓰리 콤보' 제동에 사활을 내걸고 있다.

집행부측은 "일각에서는 총력 저지를 위해 초강경 투쟁도 병행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고 전해 심각성을 전했다.

아예 육견협회 내 강경집단은 지난 8월, 비가 내리는 가운데 청와대 앞 집회장에서 치부를 드러내는 알몸시위까지 강행했을 정도이다.

앞서 최재관 청와대 농어업비서관이 "‘축산법’에서 가축인 개를 가축에서 제외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시사한 점에 대한 항의성 시위였다.

최 비서관은 당시 개식용 반대 청와대 국민청원이 한달사이 20여 만명을 넘기자, 공식 답변을 내놓았다가 일각의 거친 반발에 한발 물러선 분위기다.

최 비서관은 개식용 반대 국민청원에 대한 답변으로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농장에서 소득증대를 위해 기르는 동물을 가축으로 정의한 기존 제도가 시대에 맞지 않은 측면이 생겼다"고 평가했다. 

다만, "관련 종사자의 생계대책 등도 함께 살펴봐야 하기 때문에 사회적 논의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도가 개선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안용근 박사와 육견협회 집행부는 지난 8월, 청와대앞에서 정부 등을 상대로 동물보호법 개정안 철회와 생존권 보장을 외치며 집회를 가졌다.>

협회측,"유전자 검사로 이제는 식용견 구분할 때"
"2,3종만 식용견으로 선정,결코 어려운 일 아니다"

육견업계는 식용견과 애완견의 구분을 새롭게 주장하고 있다. 
대표적 식용가축인 돼지가 한편으로는 최근 애완용으로도 각광받고 있는 것처럼 개도 구분해 관리하자는 주장이다.

구체적 방안마저 제안돼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종자 분류가 가능한 만큼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2~3종만 식용견으로 선정하면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니라는 협회 측의 제언이다.

"개 식용을 반대하는 쪽에서는 모든 개를 '애완견'으로 보는데 엄연히 다르다"면서 "식용견은 일단 무게가 최소 30㎏ 이상 돼야 한다. 이런 개는 집에서 기를 수도 없는 만큼 애완견으로 보기가 어렵다"고 전했다.

식용견 사육을 통한 사회-경제적 효과를 강조하는 전문가 집단의 목소리도 이어진다.

버려지는 음식물을 재활용해 가축사료로 사용하는 만큼 사회적 비용 절감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학계의 진단이다.

국내 식용견 식품에 대해 조예가 깊은 안용근 박사는 도사견 교잡종은 음식물을 하루 평균 2∼3㎏씩 섭취한다며 잔반처리의 효율적인 관리를 역설한다.

전국에서 사육되는 식용견이 200여만 마리임을 추산한다면 1년에 처리되는 음식물은 182만5,000t에 달하는 양이란 설명이다.

이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527만t(2007년 기준)의 34.6%에 해당한다는 주장이다.

안 박사는 "식용견 사육업자들은 아무런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지만, 우리나라 음식물쓰레기의 3분의1을 처리하고 있다"고 자평,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저작권자 © 대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