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초롬히 피어오른 남산 안중근기념관과 동상 앞에 자라고 있는 고혹스런 '와룡매'>

[남산(서울)=권병창 기자] 1,000만 서울시민의 '허파', 남산의 안중근동상 앞에 자생하는 '와룡매(臥龍梅)'는 임진왜란 당시 창덕궁에 자라던 매화를 일본으로 가져간 모목(母木)의 후계목로 알려진다.

일본이 한국 침략에 대한 사죄의 뜻을 담아 400여년 만에 환국한 뜻깊은 매화나무로 기록된다.

모목은 임진왜란 당시(1592~159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명령에 따라 조선으로 출병한 다테 마사무네에 의해 1593년 일본으로 반출된다.

<29일 오후 안중근동상 앞에 활짝 만개한 '와룡매'>

1609년 다테가의 보리사인 마츠시마의 즈이간지(瑞嚴寺)가 중건되면서 본당 앞 양 옆에 홍백으로 식수돼 400여년간 화려한 꽃을 피우며, 사찰의 유명한 나무가 됐다.

사찰의 129대 주지 히라노소죠 스님이 일본의 침략으로 인해 조선에 많은 피해와 수 많은 인명을 살상한데 대한 참회로 '안중근의사 숭모회'에 후계목 반환을 제의,성사됐다.

한·일 외교통상부의 적극적인 협조로 1999년 3월26일 안중근의사 순국89주기를 맞아 400여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와 환국식과 더불어 이곳 남산공원에 홍매화 1주, 백매화 1주가 식수,오늘에 이른다.

<위풍스런 안중근의사 기념비와 함께 봄향기를 알리는 와룡매. ‘견리사의 견위수명(見利思義 見危授命)’ 돌탑은 공자의 논어(論語)에 담긴 문장이다. 안중근의사가 1909년 10월26일, 만주 하얼빈 역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를 저격한 뒤, 여순감옥(旅順監獄)에서 1910년 3월26일 순국하기 전까지 옥중에서 남긴 휘호중 하나이다.>

저작권자 © 대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