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물 취급업체 42%, 사고 위험 안고있어

국내 유독물 취급업체 10곳 중 4곳 이상에서 시설 미비와 노후화 등 각종 부실이 발견됐다.

또 유독물을 가득 실은 차량이 아파트 단지에 버젓이 주차돼 있는 등 규정 미비로 인한 안전 문제도 다수 확인됐다.

환경부가 지난 3월 19일부터 한달간 전국 유독물 취급사업장 3천846곳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화학사고 위험요인이 한 가지 이상 발견된 사업장이 1천620곳으로 전체의 42%에 달했다.
그중 화공 업체가 밀집된 시화공단이 가장 취약지구로 밝혀다.

유독물 외부 방출에 방지턱을 주기적으로 갱신하지 않은 사업장도 상당수 적발됐다.
심지어 전기설비의 폭발방지 시설이나 유독물 누출차단시설 등이 없거나 미비한 곳도 나왔다.

지역별로는 중소규모 화학물질 업체가 밀집한 수도권과 부산 외곽 지역 사업장들의 관리가 부실했고, 업종별로는 화학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업체보다는 전자와 철강, 섬유 등 생산공정에서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업종이 화학사고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단지 가운데서는 단지가 노후화된 시화공단과 반월공단이 관리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시화와 반월 공단은 산업단지가 20년 이상 노후화돼 바닥면 방수 균열이나 시설 부식 등 노후화가 심각했고, 방지턱과 누출차단시설 등 시설도 부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휴업이나 폐업한 업체의 잔여 화학물에 대한 관리 규정이 없어 유독물이 방치되거나, 화학물질 운송차량에 대한 차고지 규정이 없어 유독물을 실은 차량이 아파트 단지나 생산공장 주변 등에 주차되는 등, 규정미비로 인한 위험도 상당수 발견됐다.

환경부는 이번 전수조사 과정에서 적발된 6천892건의 지적사항 가운데 2천247건은 즉시 시정 조치하도록 했다.
나머지 2천659건은 상반기 안으로, 1천968건은 내년 중으로 개선조치하도록 명령하고, 사후 점검도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전수조사 결과를 토대로 환경부는 이달말까지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며, 미비된 규정도 개선, 보완하기로 했다.

수송치량의 취급주의 표시의무도 이행하지 않아 도처에 위험물이 마치 시한폭탄 처럼 널려있다.

산업이 고도화되면서 생산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수요되는 위험 화공물질을 규제 할 수는 없지만 어차피 필요물질 이라면 관리상 안전수칙을 철저히 이행해야 할 것이다.
<논설주간 이완우>

저작권자 © 대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