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사랑실천협회,생명체학대방지포럼,학생동물보호협회 등

 
 
"잔인한 불법 ‘생매장’(生埋葬) 살처분을 중단하라"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3km 싹쓸이 사라져야"

"AI는 살처분이 능사가 아니다. ‘묻지마’ 살처분을 중단하고 이동제한, 이동금지, 차단방역을 강화하라"
"가금류 AI ‘예방백신’ 제도를 도입하라, 2003년부터 AI가 집중발생하고 있는 서해안 철새도래지역의 가금 사육농가 이전대책을 마련하라"

AI(조류인플루엔자)의 원인은 야생 철새가 아니라, ‘공장식 밀집사육’인데다 사육기법을 전환하고, 동물복지 축산을 전면도입해야 한다는 첫 캠페인이 전개됐다.

가금류의 가면을 쓴채 피켓팅으로 치장한 한국동물보호연합(http://www.kaap.or.kr)과 동물사랑실천협회,생명체학대방지포럼,학생동물보호협회 회원들은 최근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대전철역 9번 출구앞에 퍼포먼스를 펼쳐 큰 호응을 얻었다.

지난달 17일, 전북 고창의 동남저수지에서 AI(조류인플루엔자)가 올해 처음 발생한 이래 현재 약 400만마리의 닭과 오리들을 살처분(殺處分)하고 있으며, 그 숫자는 더욱 늘어날 것이란 주장이다.

몰염치한 살처분은 수십에서 수백만의 동물들을 대량 죽이는 것으로 그 자체로도 너무나 끔찍한 것이란 개탄이다.

뿐만 아니라, 현행 살처분은 '예방적'(豫防的)적이고 '생매장'(生埋葬) 살처분이라는데에 커다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AI가 발생한 농가로부터 반경 500m는 물론이고, 반경 3km 광범위한 지역내의 건강하고 멀쩡한 모든 닭과 오리들을 ‘예방적’ 차원에서 '싹쓸이'로 죽인다는 주장이다.

이는 마치, 한 사람이 감기에 걸렸다고 해서, 3km내의 건강한 사람들까지 예방적 차원에서 모두 죽이는 것과 같은 무모하고 무식한 정책이란 비교이다.

이러한 3km지역의 ‘예방적’ 살처분은 외국에서는 전례가 없는 매우 비과학적이면서도 잔인한 동물대학살일 뿐이다.
또한 이러한 3km 예방적 살처분은 축산농가의 파탄과 국가와 지자체의 예산과 재정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는 AI가 발생하면 해당 농가의 가금류들만을 살처분하고, 나머지 500m, 3km 지역내의 가금류들에 대한 예찰과 방역을 강화하고 이동제한, 이동금지 등을 철저히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유럽연합(EU)에서도 AI발생농가 해당 농가나 500m 오염지역내에서의 선택적 살처분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우리나라의 경우 3km지역내의 건강하고 멀쩡한 동물들을 싹쓸이로 죽이는 ‘막가파’, ‘묻지마’ 살처분에만 혈안이 돼 있다.

2003년 국내에서 AI가 처음 발생 이후 2003년, 2006년, 2008년, 2010년 10년 동안 2-3년을 주기로 AI가 반복되며 약 2,500만 마리의 닭과 오리들이 ‘예방적’ 살처분이라는 이름으로 죽임을 당했다.

하지만 그 기간동안 고병원성 AI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닭과 오리의 숫자는 겨우 121마리에 불과하여, 건강하고 멀쩡한 닭과 오리 99%가 ‘예방적’ 살처분이라는 이름으로 살처분된 것으로 알려졌다.

 
 
비과학적이고 잔인한 현대판 홀로코스트(Holocaust) 중단
"살처분된 가금류 99% 건강 멀쩡한 닭과 오리들" 희생

이들 NGO는 우리나라의 현대판 ‘홀로코스트’(Holocaust)을 즉각 중단해야 함은 물론 AI 확진없는 예방적 살처분을 하루빨리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차단 방역을 강화하여 확산을 막아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AI 방역현장을 가보면 운반차량, 사료차량, 사람들이 자유롭게 AI발생 농가를 출입 왕래하면서 전국적으로 AI를 확산시키고 있다. 방역이 매우 허술하고 구멍투성이라는 것이다.

또한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AI 살처분은 살아있는 닭과 오리들을 푸대에 담아 땅속에 묻는 '생매장'(生埋葬) 살처분이라는 것이 큰 문제이다.

현행 ‘동물보호법’ 제10조와 ‘가축전염병예방법’, 그리고 ‘AI긴급행동지침’ 등에는 닭과 오리는 CO2 가스 등을 이용하여 고통없이 안락사(安樂死)시킨 후 처리하도록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지자체는 ‘생매장’ 살처분이라는 불법 행위에 앞장서고 있는 것이다.

10년전부터 동물보호단체가 ‘생매장’ 살처분을 중지하고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귀를 닫고 ‘나몰라라’ 하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2003년부터 서해안 철새 도래지역에서 5차례 모두 집중적으로 AI가 발생하고 있는만큼, 철새 도래지역에 가금류 농가 이전 계획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또한 방역만으로는 눈에 보이지도 않는 바이러스를 100% 통제 관리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세계식량농업기구’(FAO)에서도 AI바이러스 발생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공장식 밀집사육’(Factory Farming)을 지목하고 있듯이, 친환경적인 ‘동물복지' 축산의 전면 도입, 실시가 필요하다.

야생조류국제기구인 ‘EAAFP’에 의하면 저병원성 AI바이러스는 야생조류와 가금류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국내에 저병원성 AI바이러스는 365일 상존하고 있다.
실제로 2013년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사육 가금류 검사에서도 450건의 저병원성 AI바이러스가 확인되었다.

이들 단체는 이어 세균과 바이러스로 오염된 열악한 사육환경과 유전적 다양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공장식 밀집사육'은 닭과 오리의 건강과 면역체계를 악화시켜, 저병원성이 고병원성 AI로 쉽게 변이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공장식 밀집사육이 각종 세균과 AI바이러스의 창고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라는 주장과 사육환경 개선을 촉구했다. 문의처는 010-삼삼이사-6-4-7-7.
<엄평웅 기자>




 

저작권자 © 대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