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이후 부패척결이 국가적 이슈로 대두된 가운데 반부패․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대규모 민․관 거버넌스가 출범한다.

2008년 반부패 거버넌스인 ‘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가 해산된 후 6년 만에 정부와 시민사회, 직능단체 등이 반부패․청렴문화 확산을 위해 다시 힘을 합치기로 한 것이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이성보)와 한국투명성기구(TI), 흥사단투명사회운동본부, YMCA 등 16개 단체로 구성된 ‘투명사회실천네트워크’ 준비위원회는 19일 범사회적으로 반부패․청렴문화 확산을 위해 새로운 반부패 민․관 협력체인 ‘투명사회실천네트워크’를 구축하고, 9월 3일 정식으로 출범식을 갖는다고 밝혔다.

현재 투명사회실천네트워크에 참여가 확정된 단체는 모두 38곳이다.

시민단체에서는 한국투명성기구(TI), 한국YMCA전국연맹, 흥사단투명사회운동본부, 한국매니페스토 실천본부, 반부패전국네트워크 등 8곳이 참가한다.

정부쪽에서는 정부의 반부패․청렴정책을 총괄하는 국민권익위원회가 참여하고, 공공기관은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철도공사(코레일), 교통안전공단, 근로복지공단 등 18곳이 동참한다.

지역에서는 105개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청렴사회실천부산네트워크’, 대구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대구시 등 30개 단체), 경상남도 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경남도 등 26개 단체), 안산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안산시 등 63개 단체) 등 반부패 의제로 활동을 하는 지역네트워크 5개 단체도 참여한다.

직능단체는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공인회계사회,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등 6곳이 동참한다.

‘투명사회실천네트워크’ 준비위원회는 “경제규모 등에 비해 국가청렴수준이 여전히 낮고, 아직도 사회 곳곳에 만연하는 부패관행을 청산할 수 있도록 실천 위주의 활동을 위해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더 많은 단체들이 청렴문화 확산에 동참할 수 있도록 참여제안을 하고 있으며, 출범 이후에도 문호를 개방, 청렴문화 확산운동이 국민운동으로 확산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시민사회단체와 공공부문 등은 2005년부터 ‘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를 발족하고 부패척결을 위해 상호 노력했으나, 2008년 정부와 시민사회간 관계가 소원해 지면서 사실상 활동이 중단됐다.

2009년에는 국민권익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투명신뢰사회정책협의회’를 구축하였으나 시민사회단체는 참여를 하지 않았다.

시민사회단체와 공공부문은 투명사회실천네트워크를 발족하기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기획단과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그간 10회에 걸쳐 모임을 갖는 등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해 왔다.

이에 따라 상시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사무처를 설치할 예정이며, 이 사무처에서 공동 협력사업을 발굴하여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각 참여기관 실무자들로 실행위원회와 집행위원회를 구성하고 시민사회· 공공· 직능· 지역 등 부문별로 공동대표와 실행위원회를 두기로 했다.
일상적인 활동은 운영위원회와 집행위원회에서 처리하되, 연1회 대표자회의를 개최하여 중요사항에 대해 최종확정하는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오는 9월3일, 서울역에서 각 기관 대표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발족식을 겸한 대표자회의를 개최하여 부문별 대표 선정과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확정한다.

‘투명사회실천네트워크’는 앞으로 ‘다 함께 더 맑게- 우리가 함께하면 세상이 달라집니다.’ 라는 슬로건으로 전국적으로 반부패․청렴과 관련하여 공동캠페인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주요사업으로는 공공기관과 지역사회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우수기관 탐방 및 교류활동, 반부패 전문교육 인력 양성 활동, 각종 정보 교류를 위한 웹진형태의 뉴스레터 발간 등의 사업을 벌인다.

아울러 공동 연구활동, 심포지엄 등을 통해 새로운 제도 등을 발굴하여 정부에 정책제안을 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우수사례집도 발굴하여 각 기관 등에서 벤치마킹하도록 할 방침이다.

‘투명사회실천네트워크’ 준비위원회는 “국가적으로 부패척결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고, 그 어느 때보다 국민적 관심이 높은 만큼 그간 누적되면서 적폐로 까지 인식되는 각종 잘못된 문화를 제거하기 좋은 기회”라면서 “경제단체와 행정기관이 참여할 수 있도록 참여제안 설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기형 기자>

저작권자 © 대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